본문 바로가기

국립중앙박물관 교육플랫폼 - 모두

메인메뉴

Loading
1, 1번째 문제 2, 2번째 문제 3, 3번째 문제 4, 4번째 문제 5, 5번째 문제 6, 6번째 문제
모두의 퀴즈 전시연계
다음 중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청색 또는 비색이라고 부르는 푸른빛의 유약이 특징인 도자기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고려청자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도자기로, 청색 또는 푸른빛의 유약이 특징입니다. 특히 선명하고 투명한 비취색이 아름다워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고려청자 중 동물, 식물, 인물 등 특정 형태를 본떠 만든 도자기를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

0/300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답안

상형청자

해설

상형청자에는 여러 형상이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최고의 제작 기술과 끊임없는 노력의 결정체인 상형청자에는 고려인이 사랑한 세상이 담겨 있습니다.

다음 중 상형청자의 소재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골라보세요.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12〜13세기 고려청자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동물이나 식물, 인물을 표현한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상형청자의 소재는 크게 자연적인 것과 종교적인 것으로 나누어집니다. 자연적 소재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상, 고려시대 사람들이 친근하게 대했을 거라고 짐작되는 동‧식물이 대부분입니다. 원앙‧오리‧참외‧죽순‧표주박 등의 모양으로 병, 주자, 연적, 향로 등을 만들었습니다. 종교적 소재는 고려시대의 국교였던 불교와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룹니다. 불상과 보살상, 나한상을 청자로 만들었고, 연꽃은 연판(蓮瓣)의 형태로 그릇의 내‧외면을 뒤덮거나 몸체 밑동을 장식했습니다. 

고려시대 청자 향로는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을까요? 모두 골라보세요!

★★★☆☆

사자장식 뚜껑 향로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사진은 국보로 지정된 <청자 사자장식 뚜껑 향로>입니다. 고려시대에 다양한 청자 향로가 사용되었다는 것은 당시 사람들이 향을 가까이 두고 향 문화를 즐겼던 증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향을 피우는 목적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둘째, 의복의 냄새와 좀 벌레를 예방하며 셋째, 종교의식이나 의례를 행할 때 신성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입니다. 향을 어떤 방식으로 피웠는지 구체적인 자료는 거의 없지만 몇몇 기록을 통해 고려시대 사람들이 향유한 향 문화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청자 귀룡모양 주자>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을 모두 골라보세요

★★★★☆

청자 귀룡모양 주자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사진은 국보로 지정된 <청자 귀룡모양 주자>입니다. 거북의 아랫부분에는 어룡모양 주자와 마찬가지로 연꽃잎 대좌를 마련하였으며, 뒤쪽에는 연꽃 줄기를 꼬아 만든 손잡이를 달아 장식성을 더하였습니다. 품격 있는 연꽃잎 대좌 위에 앉은 귀룡은 고려시대 비석의 귀부(龜趺)에서 볼 수 있는 거북과 같은 형태인데, 청자의 발달 배경에 고려 불교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던 사실로 미루어 보면 이 주자 역시 불교의 상징적인 의미를 깊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피어오른 연꽃 위에 올려진 귀룡에서는 연꽃을 통해 새로 태어나는 ‘연화화생(蓮花化生)’의 상징을 읽어낼 수 있으며, 등껍질 면마다 가늘게 음각된 글자에는 ‘왕즉불(王卽佛)’의 고려 왕실의 불교 사상이 융합되어 있는 듯합니다. 이렇듯 용이나 어룡(魚龍)‧귀룡(龜龍)‧구룡(九龍) 등의 소재는 초자연적이고 신성한 존재로서 왕실의 권위를 드러냈을 것입니다.

연관 콘텐츠 청자실 개편 영상
이 주전자는 상상 속의 동물인 어룡(魚龍)이 물을 박차고 힘껏 뛰어 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

청자 어룡모양 주전자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사진은 국보로 지정된 <청자 어룡모양 주전자>입니다. 이 주전자는 상상 속의 동물인 어룡(魚龍)이 물을 박차고 힘껏 뛰어 오르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어룡은 머리가 용, 몸통이 물고기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인물이나 동식물의 형상을 본떠서 만든 청자를 상형청자라고 합니다. 상형청자는 모본이 되는 형상의 대표적인 특징을 골라서 묘사했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는 모본보다 강한 느낌을 줍니다.

퀴즈에 대한 사용자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