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번째 문제
2, 2번째 문제
3, 3번째 문제
4, 4번째 문제
5, 5번째 문제
6, 6번째 문제
모두의 퀴즈
전시연계
박물관은 문화유산을 수집, 보존, 연구하고 그 내용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전시, 교육을 하는 곳이에요. 이러한 박물관의 일은 누가 하는 걸까요?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답안
학예연구사
해설
학예연구사는 박물관의 문화유산을 수집, 보존, 연구하고 이를 전시와 교육으로 활용합니다.
‘소장품관리자’는 발굴이나 기증 등을 통해 박물관에 들어온 문화유산을 등록, 보관, 관리해요. 소장품관리자가 사용하는 도구를 모두 선택해 주세요.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소장품관리자’가 사용하는 도구로 투명 매니큐어와 흰색 펜은 문화유산의 등록번호를 적을 때 사용하고, 자는 문화유산의 크기를 재는 데 사용해요.
‘보존과학자’가 사용하는 도구인 현미경은 문화유산을 보존 처리하기 위해 훼손된 부분을 자세히 관찰할 때 사용해요.
수장고는 전시되지 않는 문화유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으로, 문화유산의 재질에 상관없이 한 곳에 보관합니다.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수장고에 있는 문화유산들은 재질에 따라서 온도와 습도를 다르게 해서 보관해야 합니다.
‘전시기획자’는 어떤 일을 할까요?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전시기획자’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하나의 주제로 엮고 이야기를 만들어 전시해요.
전시기획안을 작성하고, 전시실 도면과 전시품 목록을 확인하며 전시품을 조심스럽게 옮겨 전시해요.
‘소장품관리자’는 발굴이나 기증 등을 통해 박물관에 들어온 문화유산을 등록, 보관, 관리해요. 크기를 재는 것도 소장품관리자가 하는 일 중 하나랍니다.
‘보존과학자’는 훼손된 문화유산을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리고 벌레나 환경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관리해요. 그러기 위해서 엑스레이(X-ray), CT 촬영을 통해 문화유산을 분석해요.
‘교육연구사’는 문화유산을 알려주는 사람이에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문화유산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체험 방법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해요. 무엇을 작성해야 할까요?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학습 내용, 체험 방법 등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정리하는 ‘개발안’을 작성해야 해요.
문화유산을 발굴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
선택 완료했습니다.
정답입니다!
오답입니다.
해설
‘고고학자’는 옛사람들이 남긴 흔적을 땅이나 물속에서 발굴해서 과거의 문화, 역사, 생활 모습 등을 연구해요.